01. 일식이란?
일식이란, 지구 상에서 볼 때 태양의 광구가 달에 의해 전부 또는 일부가 가려지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이러한 일식은 달의 그림자 속에 있는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한데 달의 궤도 방향에 의해 지구에서 바라볼 때, 태양의 오른쪽부터 최대 8분 정도 가려집니다. 일식의 종류는 개기일식, 부분일식, 금환일식이 있습니다.
02. 일식의 종류
달의 본그림자 속에 들어가 태양 전체를 가리는 것을 개기일식이라고 하며, 태양의 일부분을 가리는 것을 부분일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지 못하고 태양의 중심 부분만 가려 태양의 가장자리 부분이 반지 모양으로 보일 때, 금환일식이라고 합니다. 금환일식이 일어나는 이유는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같은 일식이라도 달과 지구와의 거리가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이죠. 보통 달이 지구에 가까이 있을 때 달의 본그림자가 지구에 도달할 수 있어 개기일식이 일어나지만, 달이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면 달의 본그림자가 지구에 도달하지 못해 금환일식이 나타나게 됩니다.
03. 월식이란?
월식이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을 일컫습니다. 이러한 월식은 지구 상의 밤이 되는 모든 지역에서 월식을 관찰할 수 있으며 달의 궤도 방향에 의해 지구에서 바라볼 때, 달의 왼쪽 부분부터 최대 1시간 40분가량 진행이 됩니다. 지구의 본그림자가 달의 본그림자보다 크기 때문에 지속시간이 일식보다 긴 것이죠. 월식의 종류는 개기월식, 부분월식이 있습니다.
04. 월식의 종류
월식은 달 전체가 지구의 본그림자 속으로 들어가 달 전체가 가려지는 개기월식과 달의 일부분만 가려지는 부분월식으로 나뉩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달의 월식은 달이 붉게 보이는데, 그 이유는 햇빛이 지구의 대기를 뚫고 통과할 때 산란이 일어나는 파장이 짧은 푸른 빛에 비해 산란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파장이 긴 붉은 빛이 먼 곳까지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 붉은 빛이 달까지 도달하고 그 빛이 반사되어 붉게 보이는 것이죠.
05. 일식과 월식이 매달 일어나지 않는 이유
달의 공전 주기는 약 27일로, 약 한 달에 한 번마다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야 하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구 공전 궤도면과 달의 공전 궤도면이 일치해야 하는데, 지구에서 보기에 태양이 하늘을 1년에 걸쳐 이동하는 경로인 황도와 천구상에서 달이 지나는 경로인 백도가 약 5도 정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매달 일어나지 않습니다. 황도와 백도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달이 삭이나 망(보름달)이나 되는 경우에만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납니다. 일식은 월식보다 자주 일어나지만 일식은 관측 지역이 한정되어 있는 반면, 월식은 밤인 곳이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기 때문에 일식보다 훨씬 자주 관측됩니다.
아래의 관련 포스팅도 함께 읽기
▼ 지구 대기권의 구조
지구 대기권의 구조
01. 지구 대기권의 구조 영국의 물리학자 채프먼(Chapman, C.)에 의해서 고도에 따른 온도 분포로 대기권을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분하였으며, 지표에서 약 1,000km 까지를 대기권으로
foodtechnology.tistory.com
▼ 태양계 행성 크기 및 거리 순서는?
태양계 행성 크기 및 거리 순서는?
우선 태양계 행성들의 순서는 어떻게 될까요 ? 태양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순서는 수성 ▶ 금성 ▶ 지구 ▶ 화성 ▶ 목성 ▶ 토성 ▶ 천왕성 ▶ 해왕성 입니다. 보통 우리가 쉽게 외웠던 '수금
foodtechnology.tistory.com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로라는 왜 생기는 걸까요 (8) | 2020.12.03 |
---|---|
태양의 수명은 앞으로 몇 년일까? (3) | 2020.12.02 |
지구 대기권의 구조 (6) | 2020.12.01 |
우주의 거대 태양광 발전소를 띄운다면? (2) | 2020.12.01 |
우주서 광물 캐는 박테리아 (2) | 2020.11.30 |